재테크/ISA

금투세 도입 전 하루라도 빨리 ISA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 이유

노티드 2024. 6. 19. 01:47
반응형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을 앞두고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 전략을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ISA 계좌 이러한 변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금투세 도입 전 하루라도 빨리 ISA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금투세 도입전 ISA 계좌 가입 이유

 

금투세와 ISA 계좌 상관관계

ISA 계좌 가입자수 현황


한국금융투자협회는 4월기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계좌)의 가입자 수가 2016년 출시 이후 8년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21년을 기점을 ISA 계좌 가입자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는데 이는 정부에서 ISA 계좌 내 국내 주식과 주식형펀드의 양도·환매 차익엔 전면 비과세하겠다는 일종의 금투세 예외 선언을 한 것이 큰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25년까지 금투세를 유예하면서 금투세에 대한 ISA 계좌에 대한 관심을 사그라들었는데 정부가 다시 금투세 시행을 주장하면서 ISA 계좌에 대한 관심이 들끓고 있습니다.

 

금투세 도입전 하루라도 빨리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ISA 계좌 납입한도 증가

ISA 계좌 납입한도 증가


금투세 도입전 하루라도 빨리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납입한도가 매년 증가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ISA 계좌는 연간 2천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5년간 총 1억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년 한도가 2천만원씩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전에 만들어두지 않고 필요한 시기가 되어서 개설하게 되면 한도가 부족하게 되어 절세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우선 ISA 계좌를 미리 개설해두고 사용여부에 대해서는 차후에 결정해도 됩니다. ISA 계좌를 미리 만들어 둔다고 해서 돈을 꼭 묶어 놔야 한다거나 하는 제약조건이 있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우선은 하루라도 빨리 개설을 해두는 편이 유리합니다.

 

 

 

ISA 계좌 세제 혜택

 

금투세에 대한 ISA 혜택

 

당장 돈이 없더라도 돈이 생겼을 때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 자체는 미리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대 가입 후 4년 차에 목돈이 생겨 ISA에 납입했는데 이익이 났다면 의무 가입기간을 채웠기 때문에 세제 혜택을 받게 됩니다. 만기 이후엔 세액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특히 금투세가 논의되고 있는 현재, 정부에서는 ISA 계좌를 통한 금투세 과세특례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일반 금융계좌에서는 해당되지 않는 국내 주식 등 이익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을 이용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서둘러 ISA 계좌개설을 해서 비과세 혜택을 받아야지, 그렇지 않으면 금투세 납부 대상이 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금투세가 논의되고 있는 현재 단계에서 연금저축과 ISA는 개인투자자에게 확실히 유리하다고 볼 만한 평생 절세 계좌라고 보여집니다.

 

ISA 계좌는 원할 때 해지하고 세액공제까지

ISA 세액공제 비교


ISA는 만기가 없습니다. 3년만 채우면 그 뒤엔 본인이 원할 때 해지하면 됩니다. 이후에 원하면 다시 새 계좌를 열면 됩니다. 이렇게 해지할 때 돈을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는데요. 옮기는 금액의 10%,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합니다. 여기서 최대 300만원은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IRP 포함)과 별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 1년에 최대 12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컨대 ISA 만기 자금이 5000만원이면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받을 수 있는 3000만원만 연금계좌로 옮기고, 나머지 2000만원으로 새 ISA 계좌를 만들면 됩니다.

 

 

ISA 계좌는 자유로운 중도 인출

ISA 중도인출


중도 인출이 자유로운 것 역시 ISA의 장점입니다. 이미 납입한 원금 내에서 출금할 수 있고, 세제 혜택 여부와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2000만원을 넣었다가 1000만원을 뺀 경우 다시 납입할 순 없습니다. 총 한도가 1억원에서 9000만원으로 줄어드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ISA 계좌

 

 

반응형